유선영(학과장) 사진
유선영(학과장)
전화번호
033-760-8852
이메일
syyoo@gwnu.ac.kr
전공
다문화복지, 다문화상담
연구실
보건복지대학3호관(W2) 307호

세부내용

학력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

- University of Georgia, School of Social Work 박사(Ph.D.)

 


경력

- 베트남 국립호치민 인문사회과학대학 한국학부 방문교수 (2019.3.-2021.2.)

-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2010.3.-2014.2.)

- 이랜드복지재단 사회복지사 (2002.3.-2004.3.)

- 굿네이버스 사회복지사 (2000.8.-2001.8.)



연구논문

- 베트남 기업 종사자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베트남기업과 한국투자기업의 조직문화 비교를 중심으로. 베트남연구, 19(2), 69-100. (2021, 공동)

- -베 다문화가정 자녀를 가르치는 한글학교 교사의 경험에 대한 연구: 베트남 호치민 지역 한글학교 교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글로벌교육연구, 12(4), 3-34. (2020, 단독)

- 베트남 대학생 대상 다문화교육 사례 연구: 베트남국립대학 한국학부 한국 다문화 사회수업을 중심으로. 글로벌교육연구, 11(2), 91-118. (2019, 단독)

-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문화교육에서의 액션러닝의 적용: 성찰저널에 나타난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글로벌교육연구, 10(1), 25-52. (2018, 단독)

- The Impact of Immigrant Parental Stress on the Risk of Child Maltreatment among Korean Immigrant Parents.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Trauma, 1-11. (2017, 단독)

- 이주자 부모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이주자 부모의 적응유연성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2), 233-254. (2016, 단독)

- 한국판 이주자 부모 스트레스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1), 1-22. (2015, 단독)

-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nonprofit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40(2), 67-80. (2013, 주저자)

-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Nonprofit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China, and Argentina.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7(3), 175-196. (2013, 공동)

- 다문화가족의 자녀양육 지원방안 - 경기도 광주시를 중심으로, 서울장신논단 (2012, 단독)

-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Immigrant Parental Stress Inventory (IPSI) in a sample of Korean immigrant parent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4(5), 989-998. (2012, 주저자)

- 아동학대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아동, 부모, 교사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아동과 권리, 5, 23-33. (2001, 공동)

 


저서·연구보고서

강원도 가족센터 운영 방향 및 발전방안』 (강원도여성가족연구원, 2022, 공동)

해바라기센터 사례관리 모형 및 매뉴얼 개발 연구보고서(한국여성인권진흥원, 2018, 공동)

해바라기센터 사례관리 모형 시범운영 연구보고서(한국여성인권진흥원, 2017, 공동)

2기 광주시 지역사회복지계획(경기도 광주시, 2010, 공동)

『The family in community. In A. C. Kilpatrick & T. Holland (Eds.), Working with families: An integrative model by level of need. (5th ed.), Boston: Allyn&Bacon. (2009, 공동)

『An Evaluation of the Neighbor To Family Professionalized Foster Care Program of Georgia (NFT, 2007, 공동)

아동힘키우기서비스(Child Empowering Sevice:CES) 아동교육 교재, 교육 강사용 지침서(굿네이버스, 2001, 공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