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준성 사진
한준성
전화번호
033-760-8858
이메일
babaro79@gwnu.ac.kr
전공
이주평화, 글로벌 난민레짐, 이주노동정치
연구실
보건복지대학3호관(W2) 309호

세부내용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 학사 (정치외교학 제2전공)



경력
경희대학교 공공거버넌스연구소 학술연구교수 (2021.4-2023.2)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연구교수 (2017.4-2020.8)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연구원 (2009.1-2010.12)


연구논문

- “1970~1980년대 동남아 난민 위기와 ‘포괄적 행동계획’(1989): ‘보호’와 ‘억제’의 긴장과 절충.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 & Cultural Criticism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14(2), 5-44 (2024). 

- 영국 이민정책의 역사(19세기 말~1971년): ‘제국의 통합성’ 관념의 균열과 우경화된 이민정치. 『정치와 공론』(한국정치평론학회), 34, 251-289 (2024).

- 우크라이나 난민 위기에 대한 유럽의 대응: ‘환대와 ‘연대에 가려진 ‘인종주의와 ‘동맹’. 『담론201(한국사회역사학회), 26(3), 7-37 (2023).

- ‘주권’과 이주’의 연계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이민학』(한국이민학회), 10(1), 7-24 (2023).

- “이민행정과 이민윤리의 간극 줄이기: ‘공동의 차별화된 책 체류 안정화 정책.” 『한국과 국제사회』(한국정치사회연구소), 6(6), 311-340 (2022).

- “평화의 시선에서 바라본 이주정치: ‘이주-평화 연계’에 기반한 이주정치의 모색.” 『평화들 PEACES』(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창간호, 37-63 (2022).

-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E-9) 사업장 이동 규제의 통치성과 위헌심사의 역설.” 『문화와 정치』(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9(2), 5-36 (2022).

- "통치성 관점에서 본 글로벌 난민정치: ‘국민국가 주권’에 포획된 ‘국가들의 사회’.” 『민족연구』(한국민족연구원), 79, 4-30 (2022).

- “분단체제 안의 이민사회에 대한 시론.” 『한국이민학』(한국이민학회), 8(2), 102-118 (2021).

- “중남미 난민 위기와 1984 카르타헤나 난민선언: 평화 프로세스와 연계된 연성 지역주의 접근.” 『한국정치연구』(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30(3), 171-198 (2021).

- “유럽의 이주민 ‘시민통합(Civic Integration)’ 정책: 내적 긴장성, 제한주의 통치, 그리고 포용적 선회 가능성.” 『국제정치논총』(한국국제정치학회), 60(2), 259-299 (2020).

- “탈북민 환대지수(Hospitality Index)의 지표체계 개발 연구.” 『문화와 정치』(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7(2), 5-36 (최진우, 김새미, 모춘흥, 이상원, 이지연, 정승철과 공동연구) (2020).

- “난민 위기와 지역 협력: 아프리카의 1969년 OAU 협약.” 『세계지역연구논총』(한국세계지역학회), 37(2), 79-98쪽 (2019).

- “스페인의 이민정치: ‘불법성’의 생산과 2005년 합법화 정책.” 『다문화와 평화』(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12(3), 133-157 (2018).

- “이주민 환대 지수(Hospitality Index) 지표체계 개발 연구.” 『문화와 정치』(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5(1), 5-41 (최진우와 공동연구) (2018).

- “‘불법’의 생산과 합법화 정책: 한국 이주노동정치의 사례.” 『민주주의와 인권』(5.18연구소), 18(1), 43-68 (2018).

- “유럽 이주민 통합 정책의 주류화: 덴마크 사례를 중심으로.” 『담론201』(한국사회역사학회), 20(3), 79-110 (2017).

- “한국 이주노동레짐의 형성과 권리 결핍.” 『한국정치연구』(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6(3), 303-332 (2017).

- “1995년 이주노동자 명동성당 농성과 이주노동정치 지형의 변화.” 『역사비평』(역사문제연구소), 111, 328-357 (2015).

- “민주화 이후의 이주노동정치사: 초기(1987~1993).” 『한국정치연구』(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3(2), 53-76 (2014).

- “‘박정희가 만든 집’: 초기 복지정치의 유산.” 『동아연구』(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31(1), 329-366 (2012).

- “다문화주의 논쟁: 브라이언 배리와 윌 킴리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19(1), 289-316 (2010).



저서·역서

『근대적 통치성을 넘어서: 문화적 측면』. 인간사랑 (2024). (공저).

근대적 통치성을 넘어서: 제도적 측면』. 인간사랑 (2024). (공저).

『근대적 통치성을 넘어서: 정책적 측면』. 인간사랑 (2023). (공저).

이주와 정치: 다문화사회의 이민정치와 이주평화학의 모색』. 당대 (2022). (저서)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공저)

환대: 평화의 조건, 공생의 길』. 박영사 (2020). (공저)

국제기준(Global Standard)과 함께 생각해보는 학교민주시민교육』. 서울특별시교육청 (2020). (공저)

2017 동아시아 평화와 협력을 위한 대화』. 제주평화연구원 (2017). (공저)

성남시사8: 생애사-이웃사촌, 사는 이야기』. 성남시사편찬위원회 (2014). (공저)

전쟁과 정의』 (원저: Arguing about War). 인간사랑 (2009). (역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