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eduSch,fnctNo=19 교육과정 교과목해설 2024 2023 2022 ★: 사회복지사2급 필수과목, ☆: 사회복지사2급 선택과목 학과(전공)명,학년,학기,이수구분,학수번호,교과목명,학점,시수 안내하는 테이블 학과(전공)명 학년,학기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시수 다문화학과 1-1 전기 815.045 국제개발협력의이해 3-3-0-0 다문화학과 1-1 전선 815.00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3-3-0-0 다문화학과 1-1 전선 815.202 소수자와인권_창의·인성 3-3-0-0 다문화학과 1-2 전기 815.012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 이해 3-3-0-0 다문화학과 1-2 전선 815.004 사회복지실천론★△ 3-3-0-0 다문화학과 1-2 전선 815.036 아시아사회의 이해 3-3-0-0 다문화학과 2-1 전선 815.009 사회복지조사론★△ 3-3-0-0 다문화학과 2-1 전선 815.0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3-3-0-0 다문화학과 2-1 전선 815.014 자원봉사론☆□ 3-3-0-0 다문화학과 2-1 전선 815.414 사회복지학개론★□ 3-3-0-0 다문화학과 2-1 전선 815.416 다문화교육론 3-3-0-0 다문화학과 2-2 전필 815.025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 3-3-0-0 다문화학과 2-2 전필 815.407 국제사회복지론☆ 3-3-0-0 다문화학과 2-2 전선 815.006 사회문제론☆ 3-3-0-0 다문화학과 2-2 전선 815.029 다문화가족의상담과실제○ 3-3-0-0 다문화학과 2-2 전선 815.412 사회복지와 인권☆ 3-3-0-0 다문화학과 3-1 전필 815.046 이민정책론 3-3-0-0 다문화학과 3-1 전선 815.005 사회복지행정론★○ 3-3-0-0 다문화학과 3-1 전선 815.011 지역사회복지론★△ 3-3-0-0 다문화학과 3-1 전선 815.301 다문화현장의이해_캡스톤디자인 3-3-0-0 다문화학과 3-1 전선 815.402 프로그램개발과평가☆△ 3-3-0-0 다문화학과 3-2 전필 815.020 국제이주와 노동정책 3-3-0-0 다문화학과 3-2 전필 815.047 이민법제론 3-3-0-0 다문화학과 3-2 전선 815.015 사회복지정책론★ 3-3-0-0 다문화학과 3-2 전선 815.027 사회복지현장실습★ 3-3-8-0 다문화학과 3-2 전선 815.419 가족정책론○ 3-3-0-0 다문화학과 4-1 전필 815.019 이민다문화가족복지론 3-3-0-0 다문화학과 4-1 전선 815.403 정신건강론☆□ 3-3-0-0 다문화학과 4-1 전선 815.409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3-3-0-0 다문화학과 4-1 전선 815.410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3-3-0-0 다문화학과 4-2 전선 815.008 국제이주와 사회통합 3-3-0-0 다문화학과 4-2 전선 815.406 여성과사회○ 3-3-0-0 다문화학과 4-2 전선 815.417 다문화교육현장 사례연구 3-3-0-0 다문화학과 4-2 전선 815.418 난민법의 이해 3-3-0-0 815.045국제개발협력의이해 Understand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국제개발 및 협력에 관한 개념적 틀과 핵심 요소들을 이해할 수 있고, 다학제적 접근을 통하여 국제개발 및 협력에 관한 경제, 사회문화 및 환경적 이슈를 학습할 수 있다. 815.001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지식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행동 및 인간발달, 사회환경체계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다양한 요소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을 세차원(이론, 요소들간의 상호작용, 발달단계와 과제)에 입각하여 검토하고 각각의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다. 815.202소수자와인권_창의·인성 Minirities and Human Rights 이주민, 민족적·인종적·종교적 소수자, 장애인, 성소수자 등 소수자의 인권에 관한 쟁점을 이해하고 관련된 사회현상을 분석할 수 있으며, 다각적인 사고를 통해 포용적이고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방안을 탐구하고 제시할 수 있다. 815.012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 이해 Understanding Multicultural Social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국제이주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정책적 도전과 대응방안을 파악할 수 있다. 815.004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elfare Practice 전문적인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과 역사적 배경을 익힐 수 있고, 사회복지실천의 이념, 철학 및 기본이론을 이해할 수 있다. 다양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대한 이해와 아울러 현장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본적 가치 및 윤리를 알 수 있고, 사회복지실천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통해 통합적 접근 및 사례관리 실천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815.036아시아사회의 이해 Understanding Asia Society 다문화ㆍ다민족사회를 핵심으로 하는 아시아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국제환경 속에서의 인근 여러 국가와의 교류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아시아 지역 공동체가 합리적으로 협력을 도모하고,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 공동의 가치를 추구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815.009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 for Social Welfare 사회조사의 이론적·철학적 기초와 다양한 양적, 질적 조사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이를 사회복지 조사설계, 조사수행, 평가 등에 활용 할 수 있다. 815.010사회복지실천기술론 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elfare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에 대한 이해와 이러한 전문성을 뒷받침하는 주요 실천모델과 개입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특히 사회복지실천의 대상이 되는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의 특성과 욕구를 이해하며 사례연구 및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기술과 기법, 상담, 관찰, 기록, 지침 등을 실천대상에게 적용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다. 815.014자원봉사론 Volunteer Work 자원봉사란 현대사회 주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그들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 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복지향상을 도모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고로 향후 지역주민들의 자원봉사활동을 계획하고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입장에서, 자원봉사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와 함께 자원봉사자 프로그램 관리에 필요한 전공지식과 기술을 학습하여 자원봉사관리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815.414사회복지학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습득할 수 있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의 개념과 동기, 사회복지의 가치 및 사회복지의 발달과정을 먼저 이해한 후에, 사회복지의 방법, 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분야,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 실천 등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를 파악할 수 있다. 815.416다문화교육론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론을 익히고 해외 및 한국의 다문화교육사례를 연구ㆍ분석을 기초로 이민자교육에 적합한 강의안 작성법 및 교수방법 등을 학습하고 개발 및 평가를 할 수 있다. 815.025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 Teaching Method of Multicultural Society 교수법 이론과 교수법 모형 등의 학습과 다문화사회교육 이론을 익히고 해외 및 한국의 다문화교육사례를 연구ㆍ분석을 기초로 이민자교육에 적합한 강의안 작성법 및 교수방법 등을 학습하고 개발 및 평가를 할 수 있다. 815.407국제사회복지론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국제적인 안목에서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관련 프로그램, 그리고 사회복지 실천활동에 관한 내용을 배우며, 지구촌 사회정의와 인권과 관련된 전 지구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할 수 있다. 815.006사회문제론 Social Problem 사회복지의 궁극적인 목적은 당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여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사회문제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한 측면에서 발생한다. 이 교과목의 학습을 통해 사회문제를 근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시각과 분석력을 키우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어떻게 사회복지대책을 세울 것인가를 탐구할 수 있다. 815.029다문화가족의상담과실제 Counseling and Theor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족 대상의 효과적인 상담을 위한 이론, 상담기법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상담능력을 형성할 수 있다. 815.412사회복지와 인권 Social Welfare and Human Rights 인권의 개념과 인권보장을 위한 국내 및 국제적인 제도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현장에서 제기되는 주요 인권 관련 현안 문제를 알고 쟁점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인권의 관점에서 사회복지제도 및 실천의 한계를 발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며 인권옹호활동을 실천하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815.046이민정책론 Migration Policy 이민현상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측면과 특성을 이해하고, 한국 및 주요 국가의 이민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과정을 기술할 수 있다. 815.005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과 구조 및 관련 조직이론들을 이해하고,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특성을 고찰한다. 더하여 사회복지조직의 관리운영에 필요한 기획과 의사결정, 인적자원관리, 서비스 질 관리, 개정관리, 정보관리, 홍보 및 마케팅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학습하고 응용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과 발달과정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조직관리 및 프로그램관리를 위한 이론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815.011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지역사회를 개입의 단위로 삼는 사회복지의 다양한 접근법들을 살펴보고, 특히 전문적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에 관한 이론과 관련기술에 관해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및 그 구성원들이 지니는 사회적 문제와 욕구의 해결에 관여하는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 자질과 역량을 기를 수 있다. 815.301다문화현장의이해_캡스톤디자인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etting 다문화 관련 분야의 다양한 직업군, 각 직업군에서 필요로 하는 직무능력, 다문화현장에서 제기되는 현안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작성, 면접 방법 등 실습 및 취업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다문화 관련 현장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직업적성을 파악하여 진로설계를 구체화할 수 있다. 815.402프로그램개발과평가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휴먼서비스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학습할 수 있다. 기존 프로그램을 사례로 활용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 실행, 평가의 제반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단계적 절차에 따라 실제로 작성할 수 있다. 815.020국제이주와 노동정책 International Migration And Labour Policy 국제이주의 개념, 현황, 특징을 이해하고, 특히 노동이민 과 관련된 정책의 내용, 수립과정 및 주요 쟁점을 설명할 수 있다. 815.047이민법제론 Migration Law 출입국관리법, 국적법, 난민법 등 한국의 이민관련 법제를 이해할 수 있고, 외국인의 법적 지위와 권리에 대해 알고 외국인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에 해당 법제를 찾아 적용할 수 있다. 815.015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사회복지정책이 갖는 개념을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를 기초로 사회복지정책이 여타 공공정책(경제정책, 외교정책, 국방정책 등)과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는 한편, 사회사업실천론과 사회복지정책의 긴밀한 관계성을 이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회복지정책을 이론적 측면과 실제적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정책결정과정, 정책수행과정, 정책비용, 정책결과 등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한 이해는 정책대안제시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815.027사회복지현장실습 Social Welfare Practicum 이론적으로 학습한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및 윤리, 지식 그리고 사회복지실천과정 및 기술을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실제로 적용하는 경험을 통해, 전문직의 사명감과 실천능력을 겸비할 수 있다. 815.419가족정책론 Family Policies 가족 및 가족과 관련한 다양한 역사, 이슈, 정책들을 포괄적으로 학습한다. 한국의 가족구조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특히 노인과 아동/청소년 관련 쟁점과 정책 내용을 심도있게 학습한다. 815.019이민다문화가족복지론 Social Welfare with Multicultural Family 가족이론과 가족복지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민자의 특수한 상황과 정서를 고려한 가족복지 실천기술을 형성할 수 있다. 815.403정신건강론 Theory of Mental Health 정신건강을 심리현상적인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장기 정신발달에 관한 구체적 심리현상을 기술하여 성장기 자녀의 교육문제로부터 자신의 심리이해에까지 활용하도록 기반을 뒷받침하고, 정신건강의 의미부터 외적으로 나타내는 성격과 내면에 지니고 있는 자아, 행복감, 심리의 특징, 각종 정신장애에 등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815.409사회복지법제와 실천 Social welfare law and practice 사회복지법과 그 체계를 이해할 수 있고,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만나는 다양한 사례와 상황에서 사회복지법 및 관련법을 찾고 적용하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법제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필요한 실천 역량을 키울 수 있다. 815.410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Social Welfare and Cultural Diversity 우리 사회내 인적 구성이 다원화되면서 소수자와 문화적 다양성이 중요한 사회 현안으로 대두되는 배경을 인식하고, 문화 다양성의 개념과 관련 주요 쟁점들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토대로 휴먼서비스 실천역량을 형성할 수 있다. 815.008국제이주와 사회통합 International Migration And Social Intergration 국제 이주의 원인과 제반 현상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에 따른 이주민의 사회·경제적 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학습한다. 2014년도 교양과정 개편시 입력 815.406여성과사회 Feminism and Society 페미니즘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성평등 관점에서 현실을 분석·비판하는 역량을 키울 수 있으며, 젠더 및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쟁점을 알고 평등의 실현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대안을 탐색하여 제시할 수 있다. 815.417다문화교육현장 사례연구 Cas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현장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다문화 관련 현장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직업적성을 파악하여 진로설계를 구체화할 수 있다. 815.418난민법의 이해 Understanding of Refugee Law 난민의 개념과 난민제도, 난민정책, 난민수용성, 재정착난민 등을 연구하고, 우리나라 난민제도의 연혁과 난민법의 제정배경과 내용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난민협약 등 난민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향을 파악하고 한국의 난민에 대한 처우와 비교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