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curriCulMap,fnctNo=0
-
-
한국문학의 현대적 이해와 활용
- 주관학과
- 국어국문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한국 고전 및 현대 문학 작품을 현대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함양
- 전공능력
-
한국고전 및 현대문학의 이해와 콘텐츠 활용
정의 : 한국 고전 및 현대 문학 작품을 통해 한국 사회와 역사, 문화와 예술을 이해하고, 다양한 콘텐츠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101.004 1-1 한국고전문학의이해 101.207 2-2 한국현대문학론 심화 101.220 3-1 한국현대비평론 101.314 3-2 한국고전문학작가론 확장 101.410 4-1 한국현대작가론 101.420 4-2 한국서정문학특강
-
-
철학교육
- 주관학과
- 철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효율성이 중시되는 방향으로 최소한의 철학적 이론/실천 모두를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내면화한 철학 교육자 양성
- 전공능력
-
철학교육을 위한 방법론 학습과 적용
정의 : 철학의 핵심을 이루는 논리학적 사유구조화에 기초해서 이론적 사유와 실천적 사유를 학습하여, 실질적 교육상황에 맞게 철학교육 방법론을 함양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104.422 1-2 논리학 심화 104.201 2-1 윤리학 104.302 2-1 인식론 확장 104.324 3-1 철학교육론_창의·인성 104.323 3-2 논술과비판적사고_전공글쓰기
-
-
경제학적 분석 방법 연구
- 주관학과
- 경제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시장경제분석을 통해 경제분석 융복합을 실천하는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경제분석 융복합
정의 : 경제학적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다양한 영역의 경제문제를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1.150 1-1 금융시장입문 심화 301.252 2-1 경제적사고와분석 301.461 2-2 현대중국경제 확장 301.0012 3-2 경제발전론_캡스톤디자인 301.458 4-2 시사경제특강Ⅱ
-
-
경제데이터 분석
- 주관학과
- 경제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경제 데이터를 계량경제 기법, 머신러닝 기법 등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역량 함양
- 전공능력
-
통계 및 계량경제학 이론 이해, 데이터 분석 능력, 코딩 능력
( 정의 )- 통계 및 계량경제학 이론 이해: 통계학 전 분야에 적용되는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등 확률모형의 기본을 이해하고, 통계학 및 계량경제학의 기초가 되는 표본분포, 모수의 측정, 통계적 가설 검정 등에 대한 이론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데이터 분석 능력: 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업무에서 문제와 연관된 주요 사항을 도출하여 데이터 분석 목표 및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
- 코딩 능력: 필요 데이터의 추출, 전처리, 저장, 분석 등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1.318 1-2 기초 빅데이터 경제학 심화 301.214 2-2 계량경제학입문 301.303 3-1 계량경제학 확장 301.468 3-2 실용경제수학 301.319 4-1 응용 빅데이터 경제학
-
-
화폐 금융 전문가 양성과정
- 주관학과
- 경제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거시 경제 이론을 바탕으로 화폐 및 금융 시장을 분석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금융시장 및 상품분석과 활용
정의 : 화폐 및 금융시장과 국제 금융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상품을 분석하여 투자를 수행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1.109 1-2 경제학원론Ⅱ 심화 301.464 2-1 화폐및금융시장의기초 301.202 2-2 거시경제학 확장 301.301 3-1 화폐금융론 301.0013 4-1 거시경제연구_캡스톤디자인
-
-
산업경제분석 전문가 양성 과정
- 주관학과
- 경제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미시경제 이론을 바탕으로 기업과 소비자, 시장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산업경제분석
정의 : 현대의 시장구조를 이해하고 기업의 경제활동 및 산업 구조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를 분석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1.108 1-1 경제학원론Ⅰ 심화 301.203 2-1 미시경제학 301.0009 2-2 소비자와 시장: 지역적 관점의 이해 확장 301.0010 3-1 지역과 산업조직 301.119 4-2 경제학특강Ⅱ
-
-
데이터 과학과 기술 경영
- 주관학과
- 경영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데이터 분석과 방법론을 활용한 경영 전공 역량의 함양과 체계적 활용
- 전공능력
-
Business Management 기초 이해
정의 : 경영/경제 관련 데이터와 최근의 방법론(빅데이터, 통계, 데이터 과학 등)을 활용해 비즈니스와 기업의 이해수준을 높이고 경영 전공 관련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2.0003 2-1 통계 빅데이터 분석 심화 302.0004 2-2 생산 서비스 융합 경영 302.456 3-1 경영정보시스템과 문제해결_캡스톤디자인_KCC 확장 302.0006 4-1 AI혁신과 기술경영 302.0007 4-2 선택의 디자인과 넛지 경영_캡스톤디자인_KCC
-
-
인공지능 기술과 전략 경영
- 주관학과
- 경영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인공지능 관련 기술 활용과 전략 경영 관련 전문역량 향상
- 전공능력
-
경영기획과 혁신역량
정의 : 인공지능 등 최신의 과학기술을 활용하며 경영전략 등과 연결하여 경영기획 관련 전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2.0002 1-2 소프트웨어 데이터 활용 심화 302.456 3-1 경영정보시스템과 문제해결_캡스톤디자인_KCC 302.322 3-1 경영전략_캡스톤디자인 확장 302.453 3-2 프로젝트 매니저먼트_캡스톤디자인 302.0006 4-1 AI혁신과 기술경영
-
-
재무제표 작성과 분석
- 주관학과
- 회계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재무회계 분야의 핵심 주제인 재무제표 작성 및 분석 능력 함양
- 전공능력
-
재무회계 분석 및 적용
정의 : 재무제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재무회계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한편, 회계 트렌드를 분석함으로써 회계 분야의 진로를 탐색하고 현업에 적용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3.107 1-1 회계원리Ⅰ 심화 303.202 2-1 중급회계Ⅰ 303.306 3-1 고급회계 확장 303.304 3-1 경영분석_캡스톤디자인 303.323 3-2 재무회계사례연구 303.401 4-1 회계감사
-
-
관리회계 분석 및 회계실무적용
- 주관학과
- 회계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관리회계 분석 능력과 회계실무역량 함양
- 전공능력
-
관리회계 분석 및 적용, 회계역량의 실무적 적용
( 정의 )- 관리회계 분석 및 적용: 관리회계 분야의 기초 및 심화 지식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회계역량의 실무적 적용: 회계제반 분야에 대한 충분한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3.109 1-2 원가관리회계원리 심화 303.204 2-1/2-2 원가회계 303.301 2-2 관리회계 확장 303.423 3-1 원가회계사례연구_캡스톤디자인 303.324 3-2 관리회계사례연구 303.419 4-2 회계진로탐색
-
-
무역 크리에이터
- 주관학과
- 무역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창의적 능력을 갖추고 이론과 실무에 능통한 자기주도적인 글로벌 무역인 양성
- 전공능력
-
디지털 전문지식을 갖춘 무역컨설턴트
정의 : 융합형 무역 플랫폼을 구축 또는 활용함으로써 1인 무역 전문가로 무역서비스나 무역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4.314 2-1 무역결제론 심화 304.455 2-1 무역통관실무 304.456 2-1 무역창업실무 확장 304.0006 3-1 국제물류론 304.453 3-1 전자무역론
-
-
지적 전문가 과정
- 주관학과
-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지적분야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공간정보 조사·분석
정의 :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해 스마트 공간 정보 조사를 바탕으로, 지적과 측량에 대한 제반사항을 이해하고 GIS를 구축하여 이를 적극활용함으로써 공간정보 관련 산업분야에서 실무를 수행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5.003 1-2 GIS개론 305.222 2-1 지적학개론 심화 305.219 2-1 원격탐사론 305.311 2-2 측량학 확장 305.324 2-2 GIS실습 305.323 3-2 지적실습
-
-
관광마케팅 전문가 과정
- 주관학과
- 관광경영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관광산업에 대한 기초 이해를 바탕으로 관광상품 기획 및 마케팅과 관광자원 개발 능력을 갖추고 나아가 관광 사업에 대한 실무를 수행하는 전문가를 양성
- 전공능력
-
관광마케팅 능력
정의 : 시장조사와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니즈에 적합한 관광 상품을 기획하고 홍보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7.424 3-1 관광상품론 심화 307.426 3-1 관광마케팅_코너스톤_KCC 307.211 3-1 관광통계조사방법론 확장 307.314 3-2 관광행동론 307.328 3-2 관광시장조사론
-
-
문화예술관광경영 전문가 과정
- 주관학과
- 관광경영학과
- 참여학과
- 음악학과
- 유형
- 융합연계형
- 교육목표
- 문화예술관광산업의 새로운 연구 이론모델을 제시하고, 각종 전략수립 및 새로운 지식 창출 능력을 갖춘 문화 예술관광산업리더를 양성
- 전공능력
-
문화예술관광 경영 능력
정의 : 문화예술산업의 콘텐츠 창조에 대한 구조적 이해와 관광서비스상품 시장의 효율적인 경영전략 수립 및 활용 기술에 대한 탈경계적 다학제간 융합능력 - 이수/편성학점
- 13학점 / 16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7.427 1-2 여가문화론_어드벤처디자인 심화 307.318 2-1 관광서비스론 701.0007 2-1 음악사Ⅰ 701.0011 2-2 음악사Ⅱ 확장 307.314 3-2 관광행동론 307.0020 3-2 MICE 산업론_캡스톤_KCC
-
-
글로벌 관광산업 전문가
- 주관학과
- 관광경영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관광산업에 대한 기초 이해를 바탕으로 글로벌관광시장의 변화를 읽어내는 통찰력을 기르고, 글로벌관광산업체들의 경영성과를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글로벌 관광시장변화 분석 능력
정의 : 글로벌 관광시장 트렌드 해석을 통해 세계 관광사업의 전망을 예측하고, 관광사업체의 재무적 구조와 성과를 분석할 수 있으며, 시장의 변화에 따라 관광사업체에 경영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4학점 / 17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7.0001 1-1 관광산업론 심화 307.0003 2-1 관광영어 307.0010 2-2 호텔관광회계 307.0011 2-2 관광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확장 307.0004 3-1 호텔관광재무관리 307.0016 4-2 글로벌관광이슈
-
-
공공정책 기획 및 분석
- 주관학과
- 자치행정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공공정책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공공정책 기획·분석·집행·평가
정의 :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을 기획(형성)하고 분석·평가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8.231 2-1 행정조사방법론 심화 308.0006 2-2 정책과정론 308.420 3-1 정부와공기업 확장 308.462 3-2 정책분석평가론 308.468 4-2 규제행정론
-
-
환동해금융
- 주관학과
- 국제통상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국제금융전반의 이론과 실무를 교육하고, 이를 종합 응용토록하여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능력일 인정받는 전문금융인재 양성
- 전공능력
-
재무관리, 금융시장·상품분석, 트레이딩·자산운용, 상품판매·영업
( 정의 )- 재무관리: 경영활동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투자·운용
- 금융시장·상품분석: 단기자금시장, 증권시장, 외환시장 등 금융시장의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고, 각 시장에서 발행·유통되는 주요 상품의 가치 및 위험을 평가
- 트레이딩·자산운용: 여러 종류의 유가증권과 자산을 투자자의 이익을 위해 정해진 투자목적에 맞게 전문적으로 매매·운용
- 상품판매·영업: 고객을 대상으로 금융상품을 소개하고 판매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9.213 2-1 관리경제학 심화 309.0010 2-2 정보분석과통계_어드벤처디자인 309.212 3-1 국제금융시장조사론 확장 309.312 3-2 국제투자론 309.468 4-1 국제산업세미나_캡스톤디자인
-
-
환동해물류
- 주관학과
- 국제통상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이론과 실무가 조화된 환동해 무역물류유통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물류실무, 물류경영, 물류·유통관리
( 정의 )- 물류실무: 수출입과 통상 관련 물류전문 지식으로 FTA 시대를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실무역 물류지식의 습득, 수출입 무역 거래에 필요한 물류실무절차, 상관습, 무역 법규에 대한 실무역량
- 물류경영: 물류기업의 해외진출과 국제화 과정에서 수반되는 물류경영과 그에 따른 해외 진출 전략에 대한 안목 및 리더십 개발, 물류기업의 해외진출과 관련된 글로벌 시장에 대한 이해와 해외 진출 전략에 대한 사례를 통한 경영 역량
- 물류·유통관리: 물류·유통흐름의 체계적인 지식 습득으로 국제물류 및 수출입의 종합적 안목을 배양하여 물류·유통의 전략적 의미와 관리에 대한 실무역량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309.101 1-2 국제통상원론 심화 309.251 2-2 유통경제론 309.475 3-1 국제물류론_캡스톤디자인 확장 309.0007 4-1 해운·항만물류 세미나_캡스톤디자인 309.474 4-2 국제물류사례_캡스톤디자인
-
-
미기상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주관학과
- 대기환경과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기상·기후 데이터를 결합하고 통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추출하는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 전공능력
-
Python 코딩능력, 대기경계층에 대한 이해 능력, 데이터 수집 및 분석·시각화 능력
( 정의 )- Python 코딩 능력: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적용이 가능한 기본적 Python 코딩 능력
- 대기경계층에 대한 이해 능력: 기상 및 기후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대기과학에 대한 기본적 능력
- 유용한 정보 생산을 위해 필요 데이터를 수집, 분석, 시각화 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51.0002 1-2 Python 지역 날씨 시각화 심화 551.487 2-1 대기과학PythonⅠ_어드벤처디자인 551.490 3-1 대기경계층기상학Ⅰ 확장 551.481 2-2 대기과학PythonⅡ_어드벤처디자인 551.478 3-2 대기경계층기상학Ⅱ 551.474 4-1 지역날씨빅데이터분석Ⅰ_캡스톤디자인_KCC
-
-
화학분석관리
- 주관학과
- 화학신소재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화학물질 분석 및 분석 장비를 다룰 수 있는 역량 제공
- 전공능력
-
화학의 기본 원리 및 화학물질의 다양한 분석 방법 이해 능력
정의 : 화학물질에 대한 이해, 화학물질의 분석에 대한 이해, 분석 장비 원리 및 작동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화학 물질의 성분 분석법을 이해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05.007 1-1 일반화학Ⅰ 심화 505.009 1-1 일반화학실험Ⅰ 505.205 2-1 분석화학실험 505.211 2-2 분석화학 확장 505.312 3-1 기기분석 505.465 4-2 소재분석화학
-
-
의약·화장품화학
- 주관학과
- 화학신소재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의약 및 화장품 관련 분야 진출을 위한 기초 역량 제공
- 전공능력
-
의약품과 화장품의 작용 원리 이해 능력
정의 : 생물질에 대한 이해,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 유기화학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의약품과 화장품의 작용원리를 이해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05.201 2-1 유기화학Ⅰ 심화 505.0002 2-2 생화학 505.425 3-1 인체생화학 확장 505.202 2-2 유기화학Ⅱ 505.0003 3-1 의약화학 505.0004 3-2 화장품화학
-
-
반도체 화학
- 주관학과
- 화학신소재학과
- 참여학과
- 전자·반도체공학부 반도체공학 전공
- 유형
- 융합연계형
- 교육목표
- 화학물질의 원자 수준의 구조, 결합의 특성과 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물질의 전기적 성질에 대한 이해를 통해 반도체 및 전도성 나노 소재에 대한 화학적 분석력과 응용력 함양
- 전공능력
-
반도체 화학의 이해 능력
정의 : 화학물질의 전기화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반도체, 나노소재, 재료 분야의 이해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05.102 1-2 일반화학Ⅱ 심화 557.0001 2-1,2 반도체개론 505.302 3-1 무기화학Ⅱ 확장 557.322 3-1 반도체물성 505.466 4-1 전기화학 505.0020 4-1 스마트나노소재
-
-
반도체 화학 소재
- 주관학과
- 화학신소재학과
- 참여학과
- 전자·반도체공학부 반도체공학 전공
- 유형
- 융합연계형
- 교육목표
- 반도체 화학 공정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하고 반도체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산업 현장 맞춤형 인재양성
- 전공능력
-
반도체 화학소재 공정 원리 이해 능력
정의 : 화학을 기반으로 한 반도체 소재, 공정과 관련된 기본적인 이론 및 원리를 이해하며, 반도체 소자의 동작, 공정 단계, 소재의 특성 등에 대한 포괄적 지식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57.0001 2-1,2 반도체개론 심화 505.208 2-1 물리화학Ⅰ 557.0007 2-1,2 반도체공정실습Ⅰ 557.0008 3-1,2 <반도체공정실습Ⅱ 확장 505.302 3-1 무기화학Ⅱ 505.0015 4-1,2 반도체나노화학실험 505.0006 4-1 화학신소재설계_캡스톤디자인Ⅰ
-
-
반도체 물리
- 주관학과
- 수학물리학부 물리·에너지 전공
- 참여학과
- 전자·반도체공학부 반도체공학 전공
- 유형
- 융합연계형
- 교육목표
- 자연현상의 기본원리와 반도체의 기본적 이론을 배우고, 첨단 반도체 및 양자기술의 발전과 응용에 대한 관심을 확장해 나갈 수 있는 인재양성
- 전공능력
-
반도체 물리 전공을 위한 기초과학지식 습득 및 응용
정의 : 반도체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응용방안을 찾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04.013 1-1 일반물리학이론및실험Ⅱ 심화 504.203 2-1 전자기학Ⅰ 557.0001 2-1,2 반도체개론 확장 504.301 3-1 양자물리Ⅰ 557.326 3-2 반도체소자
-
-
반도체 물성
- 주관학과
- 수학물리학부 물리·에너지 전공
- 참여학교
- 전자·반도체공학부 반도체공학 전공
- 유형
- 융합연계형
- 교육목표
- 반도체 소재의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특성이 검출기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학습하며, 이를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 전공능력
-
반도체 물리적 특성 이해 능력
정의 : 반도체 소재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이론 및 원리를 이해하며, 반도체 소자 성능 향상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4학점 / 17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04.012 1-1 일반물리학이론및실험Ⅰ 557.0001 2-1,2 반도체개론 심화 504.212 2-1 기초물리학실험 557.0007 2-1,2 반도체공정실습Ⅰ 557.0008 3-1,2 반도체공정실습Ⅱ 확장 504.407 4-1 고체물리 504.452 4-1 현대물리학실험
-
-
계산금융
- 주관학과
- 수학물리학부 수학전공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수치해석, 수학적 모델링,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술을 기반으로 계산금융 전문가를 양성
- 전공능력
-
계산금융
정의 : 금융분야의 문제를 수학적 관점에서 해석, 계산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01.009 1-2 미분적분학Ⅱ 501.433 3-2 응용수학 심화 502.003 4-1 통계학개론 501.438 4-1 금융수학Ⅰ 확장 501.428 4-2 수치해석특강 501.439 4-2 금융수학Ⅱ
-
-
인공지능 응용수학 전문가 양성과정
- 주관학과
- 수학물리학부 수학전공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한 필수 수학적 기초를 확립
- 전공능력
-
인공지능 응용수학
정의 : 선형대수학, 미분적분학, 확률과 통계, 수치계산에 대한 배경지식을 갖추어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개발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01.009 1-2 미분적분학Ⅱ 심화 501.0002 2-1 선형대수학 501.436 2-2 Python 프로그래밍 확장 501.0003 2-1 과학수치계산 및 실습 501.0004 4-1 과학계산_캡스톤디자인 501.440 4-1 머신러닝의 수학적 기초
-
-
아쿠아팜 관리
- 주관학과
- 해양생태환경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전문성, IT 활용능력, 문제해결 능력을 토대로 1차 산업인 수산업과 IT를 융합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선도 인재 양성
- 전공능력
-
해양생물 생산 및 관리 전문역량
정의 : 양식조건에 적합한 해양수산생물을 선정하고 적절한 시설을 설치하여 수산생물의 종묘생산, 육성, 양성 등의 사육 및 질병관리에 필요한 지식 및 정보를 바탕으로 양식 대상종을 기르고, 양식환경을 관리하는 전문역량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71.211 2-1 어류학및실험 심화 571.327 3-1 친환경어류양식학 571.331 3-1 해양동물바이오매스학 확장 571.325 3-2 해조양식학 553.405 4-1 양어사료학
-
-
친환경 생태 통합 서비스
- 주관학과
- 해양생태환경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친환경적인 해양생태계 통합 서비스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과 해양환경의 보존 및 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 전공능력
-
해양환경·생태 보존 관리 전문역량
정의 : 해양의 연구, 보존 및 개발을 위한 물리, 화학, 지질, 생물, 기후 및 자원 분야 기초 전공 및 심화 전공기술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71.152 1-2 해양학개론 심화 571.223 2-1 물리해양학 571.251 2-2 화학해양학 확장 553.309 2-2 해양생태학 571.421 4-2 해양환경오염학
-
-
연어 질병 클리닉
- 주관학과
- 수산생명의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연어의 면역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연어 질병을 진단 및 치료할 수 있는 전문 인재 양성
- 전공능력
-
연어 질병 관리 전문능력
정의 : 연어의 종류 및 사육방법을 학습하고 연어에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72.476 2-2 면역학 심화 572.219 2-2 바이러스학 572.324 3-1 기생충학_캡스톤디자인 확장 572.328 3-1 양어사료학및실험_캡스톤디자인 572.0002 3-2 수산질병진단학및실험 572.430 4-2 수산생명임상의학_캡스톤디자인
-
-
관상어 헬스케어
- 주관학과
- 수산생명의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관상어 영향 및 병리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관상어 사육과 질병 관리를 연구하여 관상어 질병을 진단 및 치료할 수 있는 전문 인재 양성
- 전공능력
-
관상어 질병 관리 전문능력
정의 : 관상어의 종류 및 사육방법을 이해하고 관상어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72.230 2-1 어류영양학 심화 572.220 2-2 수산동물병리학 572.482 3-1 수산동물생리학 확장 572.0002 3-2 수산질병진단학및실험 572.491 3-2 수질분석학및실험 572.326 4-2 관상어질병학
-
-
푸드테크 기본_식품제조기술 전문가 양성과정
- 주관학과
-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푸드테크 분야의 기초부터 융합 교과목들을 학습함으로써 미래 식품산업에 필요한 기초학문 학습과 식품소재 및 기술개발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실무형 인재 양성
- 전공능력
-
푸드테크 기반 식품제조기술 습득 및 적용
정의 : 식품원료 및 소재의 기초적 이론을 습득하고, 푸드테크에 다양한 기술적 접목을 위한 식품공정을 이해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07.201 1-2 유기화학 심화 566.213 2-1 식품물리화학및연습 566.202 2-2 식품화학 확장 566.311 3-1 식품공학 566.447 3-1 식품영양화학 566.0009 3-2 식품위생학및실험
-
-
푸드테크 심화_개인 맞춤형 식품개발 전문가 양성과정
- 주관학과
-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푸드테크의 심화 교과과정으로 개인 맞춤형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학문 학습과 식품 신제품 개발 및 상품화를 위한 실무 교육과정들을 포함하는 실무형 인재 양성
- 전공능력
-
개인맞춤형 식품개발의 실무적 적용
정의 : 개인맞춤형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지식 습득, 식품 분석론 적용 및 식품개발에 필요한 응용 실무를 이해하는 전문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66.450 2-1 식품통계학 심화 566.250 2-1 식품재료학 566.402 3-2 식품물성학 확장 566.444 3-2 농식품소비자분석및실습 566.0002 4-1 식품유지소재개발학및실험 566.0008 4-1,2 기능성식품학
-
-
미래식품 신제품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
- 주관학과
-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신제품 컨셉 도출부터 위해요소 관리, 저장기술 적용, 공정 개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이르는 혁신적인 식품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
- 전공능력
-
미래식품 신제품 개발 전문능력
정의 : 식품산업의 시장구조를 반영한 신제품 컨셉 도출, 위해요소 관리, 저장기술 적용, 식품가공공정 개발, 마케팅 전략 수립 등 제품 개발의 전 프로세스 신제품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는 전문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66.436 1-2 해양식품과학개론 심화 566.0004 2-2 농식품시장조사론 566.207 2-2 식품미생물학 확장 566.212 4-1,2 식품마케팅학 566.0006 4-1,2 식품저장학및실험 566.428 4-2 식품가공실습 및 견학_캡스톤디자인
-
-
스마트 식품품질·안전관리 전문가 양성과정
- 주관학과
- 해양바이오식품학과 해양식품융합전공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식품 전과정에서 식품품질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신 이론 및 분석방법을 학습하며, 식품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품안전, 품질 및 소비기한 등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 실무적인 능력을 갖춘 인재양성
- 전공능력
-
스마트 식품품질·안전관리 실무능력 습득 및 적용
정의 :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 보관, 판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이해하여, 체계적인 식품품질·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전문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66.304 2-2 식품공정조작 심화 566.313 3-1 식품유통학 566.311 3-1 식품공학 566.0003 3-2 식품영양분석및실험 확장 566.303 4-1 식품기기분석학및실험 566.414 4-1,2 HACCP관리학
-
-
반도체 소자 및 공정
- 주관학과
- 전자·반도체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반도체 소자 공정과 관련된 기본적인 이론과 원리를 교육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반도체 소자의 동작 원리·공정 단계·소재의 특성 등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여 학생들이 현장에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
- 전공능력
-
반도체 전공 지식
정의 : 반도체 소자, 공정과 관련된 기본적인 이론 및 원리를 이해하며, 반도체 소자의 동작, 공정 단계, 소재의 특성 등에 대한 포괄적 지식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57.222 2-1 전기회로Ⅰ 심화 557.480 2-2 반도체기초 557.322 3-1 반도체물성 확장 557.326 3-2 반도체소자 557.423 4-1 반도체공정
-
-
시스템 반도체
- 주관학과
- 전자·반도체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논리회로, 전자회로, 디지털시스템설계,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반도체 회로 및 시스템 설계 분야의 전공 이해도 향상
- 전공능력
-
시스템 반도체 설계 능력
정의 : 반도체 소자와 시스템 전반적인 이해와 실무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7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57.213 2-1 논리회로설계 심화 557.216 2-2 디지털시스템설계 557.223 2-2 전기회로Ⅱ 확장 557.478 2-2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Ⅱ 557.0008 3-1,2 반도체공정실습Ⅱ 557.467 3-2 마이크로프로세서기초 557.468 3-2 마이크로프로세서실험
-
-
반도체 응용기술 마스터클래스
- 주관학과
- 전자·반도체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반도체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 해결 역량을 겸비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현장의 요구에 맞춰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 역량을 갖춘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차세대 반도체 개발 능력
정의 : 반도체 소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공정 등을 통해 스스로 반도체 소자의 개발 방향을 이해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7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57.423 4-1 반도체공정 심화 557.481 4-1,2 메모리반도체소자 557.0010 4-1 반도체소자설계 확장 557.0012 4-1,2 반도체 캡스톤디자인 557.0014 4-2 반도체 장비 특강 557.0013 4-2 글로벌 연수 프로그램
-
-
스마트 세라믹 디자인
- 주관학과
- 신소재·생명화학공학부 세라믹신소재공학 전공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급변하는 사회와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미래인재 양성
- 전공능력
-
분야별 창의적 스마트 세라믹 디자인 응용
정의 : 세라믹에 대한 체계적 사고 및 분야별 창의적 스마트 세라믹 디자인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55.0011 3-1 반도체박막공정공학 심화 555.0014 3-2 생체모방공학 555.0015 3-2 첨단세라믹공정론 확장 555.0019 4-1 스마트유리공학 555.0018 4-1 나노파우더합성공학
-
-
세라믹 반도체 공정
- 주관학과
- 신소재·생명화학공학부 세라믹신소재공학 전공
- 참여학과
- 전자·반도체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 유형
- 융합연계형
- 교육목표
- 반도체 산업에서 요구하는 첨단인재 양성과 우리 대학 경쟁력 및 학생들의 취업경쟁력 강화
- 전공능력
-
세라믹 반도체 공정
정의 : 세라믹 반도체 소자 제작 및 관련 공정에 대한 응용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3학점 / 16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57.0001 2-1,2 반도체개론 심화 555.234 2-1 세라믹재료합성 557.0007 2-1,2 반도체공정실습Ⅰ 557.0008 3-1,2 반도체공정실습Ⅱ 확장 555.321 3-1 고체전자물성론 555.0013 3-1 세라믹전자회로설계공학
-
-
반도체 생명화학공학
- 주관학과
- 신소재·생명화학공학부 생명화학공학전공
- 참여학과
- 전자·반도체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 유형
- 융합연계형
- 교육목표
- 반도체 소자 제조에 필요한 화학공정 및 작동원리를 통해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반도체 제조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산업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
- 전공능력
-
반도체 제조 공정 화학적 원리 방법 이해 능력
정의 : 반도체 제조 공정 전방에 대한 화학적 원리와 방법에 대한 이론 및 원리를 이해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57.0001 2-1,2 반도체개론 심화 559.433 2-1 화공생화학 557.0007 2-1,2 반도체공정실습Ⅰ 557,0008 3-1,2 반도체공정실습Ⅱ 확장 559.402 3-1 반응공학 559.331 3-1 창의적물리화학실험및설계_캡스톤디자인 559.434 4-2 전기화학
-
-
반도체 신소재
- 주관학과
- 신소재·생명화학공학부 신소재금속공학전공
- 참여학과
- 전자·반도체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 유형
- 융합연계형
- 교육목표
- 반도체 소재와 그 소재를 이용한 반도체 산업 기본지식을 습득하고, 반도체 소재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산업 현장 맞춤형 인재양성
- 전공능력
-
반도체 금속소재 지식
정의 : 반도체 금속소재의 기본적인 이론 및 원리를 이해하며, 반도체 금속소재의 특성 등에 대한 포괄적 지식 - 이수/편성학점
- 13학점 / 17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57.0001 2-1,2 반도체개론 심화 562.227 2-1 재료과학 557.0007 2-1,2 반도체공정실습Ⅰ 557.0008 3-1,2 반도체공정실습Ⅱ 확장 562.0008 3-1 분말소재 개론 557.0006 3-1 반도체품질관리 562.456 3-2 신소재공정실험_캡스톤디자인
-
-
여가경영
- 주관학과
- 체육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여가 생활이 삶의 중심으로 부각되는 추세에 맞추어 자기경영적 마인드를 갖고 여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와 대안을 찾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능력 함양
- 전공능력
-
여가 경영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정의 : 스포츠 프로그램 기획 및 지도, 스포츠 시설 경영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731.432 1-1 스포츠윤리학 731.0003 1-2 체육학글쓰기 심화 731.0008 2-1 여가프로그램기획_코너스톤_KCC 731.355 3-1 스포츠경영및마케팅 확장 731.0013 4-1 스포츠상담과코칭 731.0016 4-2 유아·노인체육론
-
-
스포츠의학
- 주관학과
- 체육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사람의 인체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운동처방 및 상해관리와 운동 트레이닝 및 컨디셔닝을 할 수 있는 능력 함양
- 전공능력
-
스포츠 의학
정의 : 스포츠 상해 및 재활, 체육 건강 관리 및 체육지도를 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731.430 1-1 체육해부학 심화 731.351 2-1 운동생리학 731.0007 2-2 트레이닝론 확장 731.363 3-2 운동처방 731.0014 4-1 운동상해및재활
-
-
패션디자인 과정
- 주관학과
- 패션디자인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산업현장의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전공역량 및 자격을 갖추기 위한 단기 교육과정을 통해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형 융합인재 양성
- 전공능력
-
패션디자인 표현 및 응용
( 정의 )- 인체의 특징을 의상에 적용하여 표현하고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패션 상품으로 구현하는 능력
- 동·서양 복식문화의 변천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대 패션트렌드를 분석하여 창의적인 상품 및 브랜드를 개발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4학점 / 14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13.111 1-1 색채디자인 813.451 1-1 패션디지털디자인 심화 813.210 1-2 패션이미지플래닝 813.0009 2-1 패션도식화테크닉 813.0006 2-1 기초의복구성 확장 813.0014 2-2 텍스타일디자인_어드벤처디자인 813.470 3-1 현대패션과디자인_캡스톤디자인
-
-
의류 소재 과정
- 주관학과
- 패션디자인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패션디자인에 적용하고 상품으로 구현할 수 있는 능력 함양
- 전공능력
-
패션디자인 표현
정의 : 패션디자인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와 부재들을 응용하여 의상의 디테일과 아이템에 따라 적절하게 상품으로 구현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4학점 / 14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13.151 1-1 기초직물염색 813.111 1-1 색채디자인 심화 813.0003 1-2 패션페인팅&테크닉 813.0006 2-1 기초의복구성 813.0014 2-2 텍스타일디자인_어드벤처디자인 확장 813.0015 2-2 패션드레이핑_어드벤처디자인 813.0018 3-1 패션텍스타일굿즈디자인_어드벤처디자인
-
-
의류 제작 과정
- 주관학과
- 패션디자인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의복의 구성과 설계 이론 이해를 기반으로 의복 디자인을 구현하고 실제 의상을 제작하는 능력 함양
- 전공능력
-
의복설계 및 구성
정의 : 의복의 구성과 설계 이론 이해를 기반으로 의복 디자인 패턴을 구현하고 실제 의상을 제작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4학점 / 14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13.0002 1-1 의류제작이론및실습 813.451 1-1 패션디지털디자인 심화 813.111 1-1 색채디자인 813.0006 2-1 기초의복구성 813.0013 2-2 응용의복구성_어드벤처디자인 확장 813.0018 3-1 패션텍스타일굿즈디자인_캡스톤디자인 813.466 3-2 테일러링_캡스톤디자인
-
-
의류 패턴제작 과정
- 주관학과
- 패션디자인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산업현장의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전공역량 및 자격을 갖추기 위한 단기 교육과정을 통해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형 융합인재 양성
- 전공능력
-
의복설계 및 구성
정의 : 의복의 구성과 설계 이론 이해를 기반으로 의복 디자인 패턴을 구현하고 실제 의상을 제작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4학점 / 14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13.451 1-1 패션디지털디자인 813.0002 1-1 의류제작이론및실습 심화 813.0004 1-2 기초패턴메이킹 813.0008 2-1 응용패턴메이킹 813.0009 2-1 패션도식화테크닉 확장 813.0015 2-2 패션드레이핑_어드벤처디자인 813.0023 3-2 패션디지털콜라보레이션_캡스톤디자인
-
-
실용 음악 전문가 과정
- 주관학과
- 음악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대중 음악에 대한 기초지식과 연주 역량을 개발하고 예술 분야를 선도하며 다양한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는 실용 음악 전문가를 양성
- 전공능력
-
음악기초이해, 피아노 연주 응용, 연주
( 정의 )- 음악기초 이해: 서양음악과 현대음악의 역사를 이해하고 시창·청음과 화성법을 적용하는 능력
- 피아노 연주 응용: 다양한 음악 문헌을 해석하여 피아노 연주에 적용하고 피아노 교육방법을 적용하여 지도하는 능력
- 연주: 연주가에 필요한 기교를 이해하고 다양한 곡을 연주할 수 있도록 곡의 해석과 표현 능력을 기르며 다양한 곡의 시연을 통해 악기 연주와 무대 매너를 발휘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6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701.0002 1-1 음악 기초이론Ⅰ 701.0001 1-1 시창·청음Ⅰ 심화 701.0004 1-2 음악 기초이론Ⅱ 701.0007 2-1 음악사Ⅰ 701.0008 2-1 기초실기Ⅰ 확장 701.0011 2-2 음악사Ⅱ 701.0015 3-1 건반화성Ⅰ 701.0022 3-2 건반화성Ⅱ
-
-
클래식 음악 연주자 과정
- 주관학과
- 음악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클래식 음악에 대한 기초지식과 연주 역량을 개발하고 예술 분야를 선도하며 다양한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는 음악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음악기초 이해, 연주
( 정의 )- 음악기초 이해: 서양음악과 현대음악의 역사를 이해하고 시창·청음과 화성법을 적용하는 능력
- 연주: 연주가에 필요한 기교를 이해하고 다양한 곡을 연주할 수 있도록 곡의 해석과 표현 능력을 기르며 다양한 곡의 시연을 통해 악기 연주와 무대 매너를 발휘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6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701.0002 1-1 음악 기초이론Ⅰ 701.0004 1-2 음악 기초이론Ⅱ 심화 701.0008 2-1 기초실기Ⅰ 701.0007 2-1 음악사Ⅰ 701.0012 2-2 기초실기Ⅱ 확장 701.0011 2-2 음악사Ⅱ 701.0019 3-1 음악사Ⅲ 701.0026 3-2 음악사Ⅳ
-
-
미술 이론 및 기획
- 주관학과
- 조형예술·디자인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미술 현장에 적용 가능한 전문지식을 기르고, 전시 및 문화예술 기획 능력 함양
- 전공능력
-
미술 이론 및 기획
정의 : 미술 이론과 동시대 미술 문화에 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한 전시 및 문화예술 기획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4학점 / 17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741.038 2-1 미술사 741.041 2-2 이미지학 심화 741.020 3-1 공예디자인론/미술비평연습 741.033 3-2 디자인마케팅/근현대미술론 확장 741.042 4-1 전시기획 실습 741.001 4-2 현대예술과 미학
-
-
디자인 씽킹
- 주관학과
- 조형예술·디자인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제품을 디자인하는 것 이외에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모든 것’의 디자인적 사고 배양
- 전공능력
-
디자인적 사고 이해와 활용
정의 : 디자인을 배우는 것을 넘어 디자인적 사고로 기획, 마케팅, 관련 서비스 등 전 과정에 걸쳐 디자이너들의 감수성과 사고방식이 적용된 제품 제작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4학점 / 14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741.002 1-1 기초실기Ⅲ 741.022 1-2 CADⅠ 심화 741.023 2-1 CADⅡ 741.018 2-2 디자인실기Ⅱ 확장 741.045 3-1 전공실기Ⅲ_캡스톤디자인 741.046 3-2 전공실기Ⅳ_캡스톤디자인
-
-
카툰·캐릭터 일러스트레이션
- 주관학과
- 조형예술·디자인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현대 사회 조류와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자신만의 스토리텔링을 완성하고 창의적 시각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시각 예술 비즈니스 분야를 선도하는 인재 양성
- 전공능력
-
창의적 작품제작과 스토리텔링
정의 : 자신을 주제로 새로운 이야기를 상상하고 구성하는 능력과 대상을 다양하게 시각화하는 방식을 융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기술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741.003 2-1 전공실기Ⅰ 741.039 2-2 형상표현Ⅱ 심화 741.045 3-1 전공실기Ⅲ_캡스톤디자인 741.014 3-1 인디비주얼워크Ⅰ 741.027 3-2 매체와표현Ⅱ 확장 741.007 4-1 전공실기Ⅴ 741.008 4-2 전공실기Ⅵ
-
-
디지털 치과의료 경영
- 주관학과
- 치위생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디지털 치의학의 도입으로 ICT 기술과 데이터 기반의 치과의료서비스, 치과의료경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디지털 및 데이터 기반의 환자 맞춤형 치과의료서비스 및 경영전략을 실현할 수 있는 인재 양성
- 전공능력
-
전문가적 행동
정의 : 근거중심의 최신 임상지식, 폭넓은 기술과 공동작업 능력 등 치위생사로서의 전문가적 행동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편성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653.0017 2-2 헬스케어비지니스 심화 653.0018 3-1 치과의료와 데이터 리터러시 653.0019 4-1 스마트 치과의료경영 확장 653.479 4-1 임상치위생학3
(특수환자구강건강관리)653.0020 4-2 디지털 치과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