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curriCulMapWonju,fnctNo=0

-
-
사회복지정책 전문가 과정
- 주관학과
- 사회복지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사회복지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복지 정책, 제도, 관련 법에 대한 전문지식과 현장 적용 능력 습득
- 전공능력
-
사회복지정책 기획 및 운영
정의 : 정책과 제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행정체계를 관리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14.012 1-2 지역사회복지론 심화 814.013 3-1 사회복지정책론 814.423 3-1 사회복지법제와실천 확장 814.422 3-2 사회복지와 사회적 경제_캡스톤디자인 814.305 3-2 사회복지시설운영론 814.005 4-1 사회복지행정론
-
-
사회복지 기초
- 주관학과
- 사회복지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인간과 사회현상에 대한 기초 이해를 통해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 및 정책에 대한 지식 습득
- 전공능력
-
사회복지 기초 이해
정의 : 인간행동, 사회환경, 사회복지의 발달과정, 사회복지 윤리에 대해 이해하고, 나아가 사회복지 분야에 진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14.412 1-1 사회복지학개론 심화 814.416 1-1 사회복지이슈 글쓰기와 말하기 814.001 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확장 814.408 1-2 사회복지역사 814.006 2-1 사회문제론
-
-
재난간호 전문가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재난 간호 전문가로서 예방, 대응, 대비, 복구 단계별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임상 판단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중점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 전공능력
-
다학제 학문지식을 응용하는 능력,보건의료팀과 협력하고 가용자원을 활용하는 능력
(정의)- 다학제 학문지식을 응용하는 능력: 재난 상황에서 간호학과 다양한 학문분야의 지식을 통합적으로 적용하고, 근거기반의 실무를 수행하는 능력
- 보건의료팀과 협력하고 가용자원을 활용하는 능력: 팀워크의 원리와 가치를 바탕으로 협력 체계를 유지하여 재난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06.222 2-1 건강사정실습 806.480 2-2 안전관리와 감염간호 심화 806.433 2-2 성인간호학2 806.427 3-1 성인간호학4 806.432 3-2 정신간호학1 확장 806.443 4-1 정신간호학실습 806.257 4-2 응급 및 재해간호 806.467 4-2 지역사회간호학4 806.439 4-2 통합시뮬레이션실습2
-
-
뉴스 정보콘텐츠 제작
- 주관학과
- 디지털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흥미롭고 유익한 뉴스와 정보콘텐츠를 제작하는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뉴스제작
정의 : 인쇄매체, 영상매체, 온라인매체 등 다양한 미디어 유형에 맞게 가치 있는 뉴스와 정보성 콘텐츠를 기획하고 취재하고 구성하고 배포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17.0002 1-1 모바일뉴스실습 심화 817.0005 1-1 강원 영상제작실습 817.0003 1-2 커뮤니케이션이론과 SPSS 실습 확장 817.0011 2-2 뉴스문장연습 817.0016 3-1 멀티미디어리포팅
-
-
크리에이티브 디지털 영상 제작
- 주관학과
- 디지털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디지털 플랫폼에 적합한 창의적이고 매력적인 시청각 콘텐츠를 생산하는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영상제작
정의 : 방송학·영화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의 영상을 제작하고 비평하며 디지털 플랫폼에 적합한 창의적인 시청각 콘텐츠를 생산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17.0001 1-1 SNS와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 심화 817.0005 1-1 강원 영상제작실습 817.0006 2-1 디지털영상편집 확장 817.0012 2-2 스크린라이팅 817.0017 3-1 유튜브라이브스트리밍
-
-
딥러닝 응용 전문과정
- 주관학과
- 컴퓨터공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 학습자가 데이터 수집, 정제, 분석, 시각화 그리고 머신러닝과 같은 핵심 데이터 사이언스 기술을 습득하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
- 데이터 윤리 및 보안 원칙을 이해하고 준수하며, 비즈니스 의사 결정과 관련된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통찰력을 얻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
- 실제 데이터 사이언스 프로젝트를 통해 현업 경험을 쌓고, 데이터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를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지원
- 전공능력
-
데이터 기반 정보기술 개발, 지능시스템 설계 및 응용
(정의)- 데이터 기반 정보기술 개발: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데이터에 기계 학습 모델을 적용하여 예측 및 분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 지능시스템 설계 및 응용: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와 기계학습, 인공지능 개발 라이브러리(scilit-learn, Pytorch 등)를 사용하여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자동화하고, 데이터 과학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8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03.0002 1-2 인공지능 수학 503.355 2-1 딥러닝프로젝트_어드벤처디자인_KCC 심화 503.0004 2-2 기계학습 503.0006 3-1 딥러닝 자연어처리_캡스톤디자인 확장 503.809 4-1 데이터마이닝_캡스톤디자인_KCC 503.0010 4-2 딥러닝이미지처리_캡스톤디자인
-
-
인공지능 설계 및 응용
- 주관학과
- 정보통신공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인공지능 설계 및 응용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인공지능 설계 및 응용
정의 : 인공지능을 설계하고 산업 응용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12.477 2-1 기초빅데이터프로그래밍 심화 812.0001 3-1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812.491 3-1 AI 기초 확장 812.0003 3-2 AI 응용 812.476 4-1 제어공학
-
-
생산 및 제어 전문가 과정
- 주관학과
- 기계공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생산 및 제어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생산 및 시스템 제어
정의 : 기계재료 제작 기술 이해를 바탕으로 전기전자, 신호, 로봇제어, 자동제어 시스템을 설계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16.018 2-1 기계공작법 심화 816.017 3-1 신호와 시스템 816.029 3-2 로봇공학 확장 816.0008 4-1 자동제어 816.025 4-2 기계재료학
-
-
인공지능 융합 전문가 과정
- 주관학과
- 산업경영공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공학지식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을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데이터관리, AI융합
(정의)- 데이터관리: 인공지능, 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그래밍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
- AI 융합: 빅데이터 분석 및 딥러닝 활용을 위한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현장실무에 응용하는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2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556.153 2-1 프로그래밍기초 심화 556.258 2-2 프로그래밍응용 556.356 3-1 데이터분석방법론_전공글쓰기 확장 556.0007 3-2 고급인공지능_캡스톤디자인 556.467 4-1 R 프로그래밍 시각화
-
-
디지털콘텐츠 디자이너 과정
- 주관학과
- 멀티미디어공학과
- 유형
- 전공능력기반형
- 교육목표
- 미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혁신적으로 변화하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핵심분야인 인공지능, VR/AR 등 스마트 콘텐츠를 창의융합적 발상으로 도전정신을 갖고 혁신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획 및 개발 전문가 양성
- 전공능력
-
디지털콘텐츠 디자인
정의 : 디지털 콘텐츠의 전반적인 지식과 최신 기술을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응용하여 컨텐츠를 스스로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는 전문가 수준의 능력 - 이수/편성학점
- 15학점 / 15학점
- 교육과정
-
주관학과 유형 교육목표 전공능력 이수학점/편성학점 교육과정 이수단계 학수번호 학년학기 교과목명 기본 807.465 1-1 멀티미디어디자인Ⅰ 심화 807.469 1-2 웹페이지개론 807.251 2-1 그래픽디자인 확장 807.485 2-2 창의적 문제 분석과 소프트웨어 설계 807.209 2-2 객체지향프로그래밍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