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적위치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교동
-
시 기청동기시대
-
조사연도1997~1998년
강릉시 교동유적은 교동택지 개발지역에서 발굴된 B.C. 10~12경으로 추정되는 청동기 시대의 집단취락지이다.
강릉시 교동, 유천동 일대의 낮은 구릉지대에서 발견된 주거지 6기는 장(방)형의 수혈 주거지로써 그 중 최대규모인 4호 주거지는 길이 14.5m, 폭 6.2m(89.9㎡, 27평정도), 깊이 28㎝였으며 1호 주거지에서는 벽채, 기둥, 저장구덩이, 작업대 등이 양호한 상태로 노출되었기 때문에 청동기시대 초기의 가옥구조 연구에 있어서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한편 주거지에서는 완형토기 10여 점과 다량의 토기편이 출토되었으며, 작업대, 숫돌, 돌도끼, 돌대패, 돌화살촉, 반달돌칼, 방추차, 어망추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이 유적에서 발견된 토기는 단사선문, 거치문 등이 장식된 것과 그러한 장식이 없는 이중구연토기와 홑구연의 심발형 토기, 굽달리 두형토기와 굽달린 장경소호, 방사선상의 문양이 시문된 가락바퀴 및 장방형 석도 등이 함께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두만강유역 동북계통의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 문화와 깊은 관계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강릉 교동 유적은 지금까지 어느 유적에서도 발견한 바 없는 특이한 형태의 유물상을 보여주는 유적으로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초기의 문화전파와 가옥발달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유적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