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적위치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방내리
-
시 기청동기시대
-
조사연도1990년
방내리 유적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 홍질목을 넘어 표고 35~45m의 낮은 구릉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유적이다.
방내리 주거지는 모두 12동이 확인되었으나 파괴가 심한 편이다. 평면형태는 평면장방형 또는 방형으로, 대부분 동-서방향을 장축으로 하고 있어 구릉의 등고선 방향과 일치한다. 주거지의 면적은 확인이 가능한 7基의 경우 약 20~50㎡이다. 주거지의 바닥은 모두 풍화암반을 파들어가 평평한 바닥을 마련한 뒤, 그 위에 진흙을 얇게 깔고 다진 것이 확인되었다.
내부시설로는 화덕자리, 기둥구멍, 제습용 홈, 작업대, 저장용 구덩이 등이 발견되었다.

화덕자리는 4호, 7호, 11호 주거지에서 발견되었는데, 4호의 경우는 둘레에 타원형의 진흙띠를 돌린 형태이며, 11호는 둘레에 타원형의 냇돌을 둘렀다.
기둥구멍은 비교적 잘 남아 있는 편인데, 주로 주거지의 외곽선인 벽의 바로 밑에서 확인되었으며, 1호과 3호에서는 장축인 남벽과 북벽의 중앙선상에서 기둥구멍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지붕은 맞배지붕인 것으로 추정된다. 1호 주거지에서는 토기를 바로 세워서 묻은 것과 밑동이 없는 토기를 거꾸로 묻은 것을 한 쌍으로 한 저장시설이 남북 양벽쪽의 두 곳에서 나타났는데 각각 石과 石棒이 바로 옆에 놓여 있었다.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홈이 파여져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제습용 시설로 추정된다.
출토유물은 토기류와 석기류가 있다. 출토토기는 직립구연의 심발형 공열토기이며 그밖의 구연부편은 모두직립구연의 공열토기편으로 그 형태는 크게 홑구연과 이중구연으로 나누어진다. 석기류는 석부, 돌대패, 반월형석도, 석검, 방추차, 석촉, 환형석부, 석도, 연석, 지석 등이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