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적위치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 영진리
-
시 기삼국시대(신라)
-
조사연도1993년·1996년
강릉시 연곡면 영진리 고분군은 영진리 홍질목 고개의 양쪽 해발 약 30~35m의 높이의 낮은 야산의 능선상의 위치하고 있고 능선의 동편은 동해와 접하고 남편은 연곡천이 흐르고 있다.
위 유적은 1993년과 1996년 2차례에 걸쳐 발굴조사한 결과 A구릉에서 덧널무덤 23기, 돌덧널무덤7기, 독무덤 2기, B구릉에서 덧널무덤 22기, 돌덧널무덤 8기 등 30기의 신라시대의 무덤이 노출되었다.
영진리 유적의 축조방식은 풍화암반층을 수직으로 판 다음 바닥은 아무 시설을 하지 않거나 점토혹은 점토와 진흙을 섞어 깔았다. 돌덧널무덤의 축조방식은 풍화암반층을 수직으로 판 다음 냇돌과 할석을 쌓아 석곽을 만들었으며 바닥은 덧널무덤의 방식과 같다.

출토 유물로는 굽달린목항아리, 접시, 밑둥근항아리, 적색밑둥근항아리, 뚜껑긴목항아리, 뚜껑굽 달린 접시, 쇠 손칼조각, 적색바리, 적색굽다리 접시, 굽달린항아리, 손잡이 달린 항아리, 가락바퀴, 금동 귀걸이 등이 있다.
동 유적은 대규모 고분군으로 이른 시기의 나무곽무덤이 축조되었고, 나무곽무덤에서 돌덧널무덤으로 변화하는 중간 과도기 단계의 매우 귀중한 무덤형식들이 노출되었고, 각 무덤에서 출토된 토기들이 신라토기이면서도 지방색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 신라시대의 지방사 연구와 묘제 연구에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